옛날을 옛날에서 보면...

중국 회화 산책

스티브황 2008. 6. 22. 22:39

중국의 회화는 보통 산점투시(散点透視 : 한 장의 그림 속에 몇 개의 시점이 있는 원근법)의 구도를 취한다. 반면에 서양의 회화와 사진은 하나의 시점으로 대상을 본다는 동일한 원리가 지배한다. 소위 일점투시법(一点透視法)이다.

 

운두준(雲頭峻?) : 수묵에 의한 암석의 묘사법 중의 하나인데 구름을 연상케 한다)---<중p24>

 

청대의 화가 黃鉞(황월)은 당대의 詩論家 司空圖의 "二十四詩品"을 빌리어 "二十四畵品"을 제기하였다.

 

기운(氣韻)  신묘(神妙)  고고(高古)   창윤(蒼潤)

심웅(沈雄)  충화(沖和)  담원(澹遠)  박졸(樸拙)

초탈(超脫)  기벽(奇闢)  종횡(縱橫)  임리(淋리?)

황한(荒寒)  청광(淸廣)  성령(性靈)  원혼(圓渾)

유수(幽邃)  명정(明淨)  건발(健拔)  간결(簡潔)

정근(精謹)  준상(雋爽)  공령(空靈)  소수(韶秀)---<중p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