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장대양봉, 장대음봉의 이해
<장대양봉 (Long White Body)이란>
장중 시가와 종가의 등락폭이 큰 경우를 말한다. 즉, 몸통이 이전 날들의 캔들스틱의 몸통보다 매우 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상승장에서 장대양봉 (Long White Body)는 상승지속형으로 작용하나 이 패턴의 형태만으로 매매를 임하기보다는 향후 주가를 관찰해 가며 매매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라고 사전적으로 정의 하는 듯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최선호 하는 모양의 양봉으로 특히 박스권을 돌파하는 거래량이 수반된 장대양봉을 선호합니다.
상승 지속이라고 하나 박스권 돌파시 상승의 시작을 알리는 징후로 볼수 있습니다.
<장대양봉, 장대음봉의 이해>
- 장대양봉은 매수세력의 강력한 힘을 나타내며, 이후 거래량이 점진적으로 늘거나 거래량이 줄면서
갭상승을 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상승을 기대 할 수 있다.
- 장대 음봉은 매도세력의 강도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손절물량과 실망물량으로 주가는 하락을 예고한다.
- 주가의 위치에 따른 장대봉의 해석
바닥권에서 장대양봉은 상승추세 신호.
고가권에서 장대음봉은 하락추세 신호.
바닥권에서 장대음봉은 거래량에 따라 추가 하락을 알리는 경우가 많다.
고가권에서 장대양봉은 거래량에 따라 추가 상승을 알리는 경우가 많다.
절대적은 아니다. 실전에서는 단타성 속임수 장대양봉이나 매집성 장대음봉도 종종 볼 수 있다.
- 일반적으로 고점에서 장대음봉이 출현하는 경우 세력이 물량을 처분하는 것을 나타내며,
거래량을 통해 상투 징후를 알리게 된다.
- 고점에서 거래량이 급격히 늘어난다는 것은 단기간에 주가를 끌어오린 세력이 보유 물량을 처분하는 과정에서
자전거래나 허매수 등을 동원해 일반 개인 투자자에게 떠넘기면서 발생한다.
- 고점에서 거래량 증가는 주가가 상투권에 진입했다는 강력한 매도신호이다.
단기 급등한 주식에서 고점 대량거래에 따른 장대음봉을 맞은 경우 비록 손실을 보더라도 무조건 신속히 빠져
나와야 한다.
- 고점에서 위꼬리가 길어지면 강력한 매도 신호이다.
상투권에서 공통적인 매도신호는 봉 길이와 함께 위꼬리가 길어진다는 것이다.
- 주가가 이전 고점을 돌파하는 시점이나 혹은 신고가를 갱신하는 시점에서 위꼬리가 나타나는
비석형, 십자형, 역망치형, 샅바형, 그밖에 장대음봉, 흑삼병, 흑운형, 하락장악형, 유성형, 석별형 등이 출현하면
추세에 연연하지말고 일단 매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거래량 없이 날아가는 급등주나 거래량이 실리며 급등하는 주식이든 일단 장대음봉이 출현하면 매도하는 것이 원칙.
특히 거래량이 늘면서 단기 100%이상 상승하는 주식에서는 전날 종가를 기준으로 주가가 하향이탈하는 경우에는
무조건 매도이다.
- 고점에서 양봉이든 음봉이든 위꼬리가 출현한다는 것은 당일 고점에 누군가 물량을 던졌다는 뜻으로,
매도세력이 매수세력을 압도한다는 것을 의미, 봉 길이에 관계없이 위꼬리 출현시에는 매도 관점이다.
- 급등주에서 세력은 최고점에서 한번에 물량을 처분하지 않는다.
특히 거래량이 실린 급등주인 경우 후속 매수세를 가늠하기 위해 주로 잠자리형, 교수형, 망치형,
장대양봉 등의 캔들을 만들어 인위적으로 끌어 올린다.
이때, 대부분 거래량이 늘게 되는데 허매수를 이용해 개인투자자를 유혹하면서 이 기회를 노려 세력은
보유물량을 처분한다.바닥권에서 매집중인 종목중 상한가 잘나오는 세력 매집종목은 따로 있음 세력연구소 검색후 가보시면 상한가 잘나온 차트자료가 있는데 보시면 크게 도움이 되실듯!
- 급등주는 급등 도중 잠자리형, 망치형 캔들을 가장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만약 이때 평소보다 거래량이 5배 이상 많다면 필시 세력이 물량을 처분하는 단계이므로
곧이어 상투권에 진입한다는 신호로 해석(매도관점)
- 고점에서 흔히 발견되는 잠자리형, 망치형, 장대양봉은 거래량이 늘면서 아래꼬리가 길수록
추격매수보다는 매도쪽에 무게를 두어야 한다.
- 고점에서 연속적으로 위꼬리가 달린 양봉이 출현한다면 음봉으로 해석해야 한다.
연속적인 위꼬리가 생겼다는 것은 매도세력이 출현했다는 의미로 매도 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