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31

獨立血史 1,2合本(단기 4289년, 대한문화정보사)

2014년 경일게다. 서울 서대문 중앙대 별관에서 'HRD' 과정을 받고 있을 때였다. 학우 홍남일 선생과 막걸리에 파전을 먹으며 세상을 이야기하던 시절이기도 했다. 구한말과 조선의 역사를 이야기하다, '독립혈사'라는 귀한 책이 있다고 했다. 10만원 줄테니 팔라고 했다. 홍 선생은 다음날인가에 그 책을 들고왔다. 현금으로 10만원을 치렀다. 책 표지가 떨어져 있다. 수리소에 맡기면 되겠지 했다. 이순신 장군을 포함해 일본과 대적했던 투사들을 사진과 함께 간략히 소개하고 있다. 그때는 몰랐지만 2023년, 문 정권 때 육사 교정에 세워진 독립투사 흉상 중 '홍범도 장군' 동상이 문제가 되었다. 양당이 첨예하게 대립하며 정치논쟁, 이념논쟁으로 비화했다. 문득 이책이 생각나 책에 기록된 독립투사 명단(목록)..

조선 민족문화의 연구(손진태, 1948년 1월, 을유문화사)

이 책은 1948년 1월 25일 을유문화사에서 '한국문화 총서 제5집' 발행했다. 장인어른 장례 후 유품 정리과정에서 서재 책꽂이에서 발견했다. 표지에는 제목 등 아무런 표시가 없다. 오래되고 낡아서 표지 제본 둘레가 벗겨졌다. 속 표지 제목에는 '조선 민족문화의 연구'라 써놓고 부제로 '조선 및 중국의 민속 연구 논집'이라 써놓았다. 뒷면 발행란에는 을유문화사가 조선문화총서 제5집으로 1948년 1월 25일 발했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일은 1948년 8월 15일이다. 따라서 이 책은 정부 수립 이전인 미 군정청 시절에 출판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해방 이후 한글로 이루어진 연구서이며 출판이다. 한글로 이루어진 연구와 출판 문화의 태동기에 이루어진 귀중한 문화 유산이라 할 수 있다. 또 한글로 이루어진..

'글자의 혁명'(최현배,1947년)

장인어른 돌아가시고(양력 2020.08.10) 장례(8월 12일) 치른 후 장인어른 유품을 정리하다 서재에 꽃혀 있는 빛바랜 책을 꺼내봤다. '글자의 혁명'이다. 뭘까, 궁금했다. 마침 눈에 익은 글귀가 나온다. '최현배', '군정청', '문교부'다. 예사롭지 않다 싶었다. 군정청이라면 해방 후 1948년 정부수립 전까지 3년 동안이다. 그 기간에 발간한 책이란 걸 느끼고 해수를 재보니 대략 73년이 경과했다. 게다가 '문교 연구 총서 첫째 책'이라고 제목 위에 씌여 있다. 해방 후 우리 글을 어떻게 정착 보급시켜야 할지 비록 군정청 문교부지만 최대 과제였을 것이다. 인터넷에 검색해 보니 책 표지가 똑 같다. 전체 198페이지로 이루어져 있다. 뒷면 겉표지는 낡아 떨어진 모양이다. 장인어른께서 두꺼운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