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의 의미와 새김 中庸 제1장은 중용의 전체 의미를 포괄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고 하는데... <그 1장의 의미를 새겨 보면> - 天命之謂性 : 하늘이 명령하는(天命) 그것을 일컬어(謂) 本性(문명 이전의 본질)이라 하고 - 率性之謂道 : 본성을 따르는(率性) 그것을 일컬어(謂) 道라 하고, 여기서 道는 本.. 옛날을 옛날에서 보면... 2012.05.16
고대 중국어와 한문은 왜 세로쓰기에다 왼쪽으로 써 나갔을까? 왜 고대 중국어와 한문은 세로쓰기에다 그리고 오른쪽이 아닌 왼쪽으로 불편하게 써 나갔을까? 특히나 붓글씨를 종이 위에 왼쪽으로 써나가면 먹물이 늘어진 소매에 묻어나기 십상인데 왜 불편하게 그렇게 오랜 동안 전통과 관습이 되어 내려올까? 늘 궁금했었다. 종이가 발명되기 전, .. 옛날을 옛날에서 보면... 2012.05.08
우리의 장례문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어젯밤 11시경에 친구의 부친이 돌아가셨다. 그리고 새벽같이 문자메일이 왔는데 내일이 발인이란다. 3일장을 치러야 하고, 그래서 고인과 이승에서 작별하는 시간은 만 하루가 조금 넘는다. 너무 급하게 서두른다 싶다. 물론 각 집안의 사정에 따라 결정한 일이므로 간섭하거나 .. 옛날을 옛날에서 보면... 2011.12.28
등소평의 통찰력과 지도력 모택동 사후, 4인방을 가두고 등소평이 집권을 한 후에, 문화대혁명 기간동안의 모택동의 죄과에 대한 비판이 무르익기 시작할 무렵 실권을 장악한 등소평은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다고 한다. 모주석의 공과 과가 있지만, 과실보다 공이 더 많다고 본다.고 정의를 내리고 더이상 모택동의 단죄에 대하.. 옛날을 옛날에서 보면... 2011.02.20
풍만한 미인도를 잘 그린 주방(周昉)과 신라의 공작을 그린 화조화가 변란 주방(766 ~ 804년)은 中唐(766 ~ 840년)시대에 인물화 특히 미인도를 잘 그렸다. 조형적으로는 풍기수골(豊肌秀骨 : 풍만한 양감과 수려한 골격)이라 불려진다. 화단에서 소위 농려풍비(濃麗豊肥 : 농염한 의상과풍만한 용모)의 전형을 이루었다. 주방이 그린 그림들은 당대 사람들이 가장 좋아.. 옛날을 옛날에서 보면... 2009.01.04
인물화의 거두 염립본(閻立本) 수, 당 시대에는 인물화의 황금시대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산수화와 화조화가 독립된 분야로 나아가던 시대이다. 당대의 인물화는 특히 이채로웠다. 그 중에서 염립본(601 ~ 673년)은 당시 인물화의 거두였다. 그 작품중 <역대제왕도권(歷代帝王圖券)>을 살펼보자. 선묘는 완만하며 급격.. 옛날을 옛날에서 보면... 2009.01.04
체계적인 회화이론을 수립한 南齊의 사혁(謝赫) 그 이전에도 그림에 대한 언급이 있었지만 체계적인 회화이론이 성립한 시기는 위진.남북조 시대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남제 사혁의 '古畵品錄'이다. 그는 여기서 그림에는 육법이 있음을 제창하였다. 이후 어느 시대이든 간에 창작과 비평의 기준이 되었다. 육법의 내용은 .. 옛날을 옛날에서 보면... 2009.01.04